반응형
SMALL
빅데이터 특징
- 빅데이터는 수십 테라바이트(TB) 이상의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의미로도 통용됨
- 데이터에서부터 가치를 추출하는 것은 통찰, 지혜를 얻는 과정으로 Ackoff Russell Lincoln이 도식화한 DIKW 피라미드(아래의 그림 및 표 참고)로 표현할 수 있음
-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하는 기존의 관리 방법으로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어려울 때 빅데이터를 사용함
피라미드 요소 | 설명 |
데이터(Data) | ☞ 객관적 사실로서 다른 데이터와의 상관관계가 없는 가공하기 전의 순수한 수치나 기호 ☞ 아직 특정의 목적에 대하여 평가되지 않은 상태의 단순한 여러 사실 |
정보(Information) | ☞ 가공, 처리하여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와 함께 의미가 도출된 데이터 ☞ 데이터가 의미 있는 패턴으로 정리되면 정보가 되며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생산됨 |
지식(Knowledge) | ☞ 획득된 다양한 정보를 구조화하여 유의미한 정보로 분류하고 일반화시킨 결과물 ☞ 정보가 의사결정이나 창출에 이용되어 부가가치가 발생 ☞ 동종의 정보가 집적되어 일반화된 형태로 정리된 것 |
지혜(Wisdom) | ☞ 근본 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창의적 아이디어로 상황이나 맥락에 맞게 규칙을 적용하는 요소 ☞ 지식을 얻고 이해하고 응용하고 발전해나가는 정신적인 능력 |
1. 빅데이터의 특징
- 전통적으로 3V(Volume, Variety, Velocity), 최근에는 5V(Veracity, Value), 7V(Validity, Volatility)로 확장하고 있음
특징 | 설명 |
규모 (Volume) |
☞ 빅데이터 분석 규모에 관련된 특징 ☞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발전으로 과거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SNS로부터 수집되는 사진, 동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까지 디지털 정보량의 기하급수적 증가 |
다양성 (Variety) |
☞ 빅데이터 자원 유형에 관련된 특징 ☞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반정형 데이터를 포함 |
속도 (Velocity) |
☞ 빅데이터 수집·분석·활용 속도에 관련된 특징 ☞ 사물 정보(센서, 모니터링), 스트리밍 정보 등 실시간성 정보의 생성 속도 증가에 따라 처리 속도 가속화 요구 ☞ 가치있는 정보 활용을 위해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속도의 중요성 증가 |
신뢰성 (Veracity) |
☞ 빅데이터의 수집 대상 데이터가 가지는 신뢰에 관련된 특징 ☞ 방대한 데이터에서 노이즈(Noise) 및 오류 제거를 통해 활용 데이터에 대한 품질과 신뢰성 제고 요구 ※ 노이즈는 실제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입력되었다고 잘못 판단된 값을 의미함 |
가치 (Value) |
☞ 빅데이터 수집 데이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 ☞ 비즈니스나 연구에 활용되어 유용한 가치를 끌어낼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 ☞ 빅데이터의 가치는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시간성과 관련됨 |
정확성 (Validity) |
☞ 빅데이터의 수집 대상 데이터가 가지는 유효성과 정확성 ☞ 데이터의 규모가 아무리 크더라도 질 높은 데이터를 활용한 정확한 분석 수행이 없다면 의미가 없음 |
휘발성 (Volatility) |
☞ 빅데이터의 수집 대상 데이터가 의미가 있는 기간 ☞ 데이터가 얼마나 오래 저장될 수 있고, 타당하여 오랫동안 쓰일 수 있을지에 관한 사항 빅데이터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용한 가치를 창출해야 함 |
2. 빅데이터의 유형
- 데이터의 구조적 관점에서 구분하면 정형,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로 구분됨
유형 | 설명 |
정형 | ☞ 정형화된 스키마(Schema) 구조, DBMS에 내용이 저장될 수 있는 구조 ☞ 고정된 필드(속성)에 저장된 데이터 ex) 관계형 데이터베이스(Oracle, MySQL, MS-SQL 등) |
반정형 | ☞ 데이터 내부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메타 정보가 포함된 구조 ☞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만, 메타데이터나 데이터 스키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ex) XML, HTML, JSON 등 |
비정형 | ☞ 수집 데이터 각각이 데이터 객체로 구분 ☞ 고정 필드 및 메타데이터(스키마 포함)가 정의되지 않음 ☞ Crawler, API, RSS 등의 수집 기술을 활용 ex) 텍스트 문서, 이진 파일, 이미지, 동영상 등 |
3. 데이터 지식 경영
-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시장도 큰폭으로 성장하고 있음
- 최근 아마존(AWS), 넷플릭스(Netflex) 등 데이터 기반 지식 경영으로 세계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기업 사례들을 볼 수 있음
- 데이터 기반 지식 경영의 핵심 이슈로는 암묵지와 형식지의 상호작용에 있음
구분 | 설명 | 상호작용 | 내용 |
암묵지 | ☞ 학습과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체화되어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지식 ☞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공유되기 어려움 |
내면화 | ☞ 활동과 실천교육 등을 통해 형식지가 개인의 암묵지로 체화되는 단계 |
공통화 | ☞ 다른 사람과의 대화 등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이 암묵지를 습득하는 단계 | ||
형식지 | ☞ 문서나 매뉴얼처럼 형상화된 지식 ☞ 전달과 공유가 용이 |
표출화 | ☞ 개인에게 내재된 경험을 객관적인 데이터인 문서나 매체로 저장하거나 가공, 분석하는 과정 |
연결화 | ☞ 형식지가 상호결합하면서 새로운 형식지를 창출하는 과정 |
빅데이터의 가치
1. 빅데이터의 가치
가치 | 설명 |
경제적 자산 | ☞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위험을 해결하여 사회 및 경제 발전의 엔진 역할을 수행 |
불확실성 제거 | ☞ 사회현상,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패턴 분석과 미래 전망 ☞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
리스크 감소 | ☞ 환경, 소셜, 모니터링 정보의 패턴(Pattern) 분석을 통해 위험 징후 및 이상 신호 포착 ☞ 이슈를 사전에 인지 및 분석하고 빠른 의사 결정과 실시간 대응 ※ 패턴은 데이터들에서 나타는 규칙적인 특징(Feature)들의 집합이며 패턴 분석은 미가공된 데이터들에서 어떤 규칙성을 자동으로 찾아내고, 이 규칙성에 따라 각각의 그룹(카테고리)으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의미함 |
스마트한 경쟁력 | ☞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험 인지(Context Awareness), 인공지능 서비스 기능 ☞ 개인화, 지능화 서비스 제공 확대 ☞ 트렌드 변화 분석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 실험 인지란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결해 가상공간에서 현실의 상황을 정보화하고, 이를 활용해 사용자 중심의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사용자의 직무·감정·위치를 인지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컴퓨팅이 알아서 해주는 것을 말함 |
타 분야 융합 | ☞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 방대한 데이터 활용을 통한 새로운 융합시장 창출 |
2. 빅데이터의 가치 산정이 어려운 이유
원인 | 설명 |
데이터 활용 방식의 다양화 | ☞ 데이터의 재사용 및 재조합, 다목적용 데이터 개발 등이 일반화되면서 특정 데이터를 언제/어디서/누가 활용할지 알 수 없어서 가치 산정이 어려움 ☞ 데이터의 창의적 조합으로 인해 기존에 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가치 산정이 어려움 ex) 구글은 검색 결과를 낼 때마다 클라우드에 저장된 웹 사이트 정보를 매번 사용 |
새로운 가치 창출 | ☞ 빅데이터 시대에 데이터가 기존에 없던 가치를 창출하여 가치 산정이 어려움 ex) 고객의 성향을 분석하여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
분석기술의 급속한 발전 | ☞ 비용 문제로 인해 분석할 수 없었던 것을 저렴한 비용으로 분석하면서 활용도가 증가하여 가치 산정이 어려움 ex)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한 SNS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이란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패턴 또는 관계를 추출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기법으로 비정형/반정형 데이터에 대하여 자연어/문서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법을 의미함 |
3. 빅데이터의 영향
대상 | 영향 | 설명 |
기업 | ☞ 혁신 수단 제공 ☞ 경쟁력 강화 ☞ 생산성 향상 |
☞ 소비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시장 변동을 예측해서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거나 신사업을 발굴 ☞ 원가절감, 제품 차별화, 기업 활동의 투명성 제고 등을 활용하여 경쟁사보다 경쟁 우위를 확보 |
정부 | ☞ 환경 탐색 ☞ 상황 분석 ☞ 미래 대응 가능 |
☞ 날씨, 교통 등 통계 데이터를 수집해 사회 변화를 추정하고 각종 재해 관련 정보를 추출 ☞ 사회관계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와 같은 분석 방식을 통해 미래 의재 도출 ※ 사회관계망 분석은 그룹에 속한 사람들 간의 네트워크 특성과 구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분석기법을 의미함 ※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사업이나 사회 시스템 등과 같은 복잡한 피드백 시스템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의미함 |
개인 | ☞ 목적에 따른 활용 | ☞ 빅데이터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활용 ☞ 적시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 |
4. 빅데이터의 위기 요인
위기 요인 | 설명 |
사생활 침해 | ☞ 목적 외로 활용된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경우 사생활 침해를 넘어 사회·경제적 위협으로 확대 |
책임 원칙 훼손 | ☞ 예측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기술이 발전하면서 분석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예측 알고리즘의 희생양이 될 가능성도 증가 ☞ 잠재적 위협이 아닌 명확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는 민주주의 국가 원리를 회손할 가능성이 존재 |
데이터 오용 | ☞ 데이터 분석은 실제 일어난 일에 대한 데이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언제나 오류가 존재함 ☞ 잘못된 지표를 사용하는 것도 빅데이터의 피해가 될 수 있음 |
5. 빅데이터의 통제 방안
통제 방안 | 설명 |
알고리즘에 대한 접근 허용 | ☞ 예측 알고리즘의 부당함을 반증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대한 접근권을 제공하여 데이터 오용의 위기 요소에 대한 대응 ☞ 알고리즘을 통해 불이익을 당한 사람들을 대변할 알고리즈미스트(Algorithmist)라는 전문가가 필요 ※ 알고리즈미스트는 알고리즘코딩 해석을 통해 빅데이터 알고리즘에 의해 부당하게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하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한 일로 인한 부당 피해를 막는 역할을 하는 전문 인력을 의미함 |
책임의 강조 | ☞ 빅데이터를 통한 개인정보 침해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책임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 강구 ☞ 사용자에게 개인정보의 유출 및 동의 없는 사용으로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 책임을 지게 함으로써 사용 주체가 적극적인 보호 장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함 |
결과 기반에 책임 적용 | ☞ 책임의 강조를 위해서는 기존의 원칙 보강 및 강화와 예측 자료에 의한 불이익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 ☞ 판단을 근거로 오류가 있는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서는 불이익을 줄 수 없으며, 방지를 위한 피해 최소화 장치 마련 필요 |
빅데이터 산업
- 스마트폰, SNS, 사물인터넷(IoT) 확산 등에 따라 데이터 활용이 증가하여 빅데이터는 신성장동력으로 급부상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 처리 비용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빅데이터가 발전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가상화된 컴퓨터의 시스템 리소스를 요구하는 즉시 서비스로 제공하는 컴퓨팅 기술로 인터넷 기반 컴퓨팅의 일종임
- 주요국 및 글로벌 기업은 빅데이터 산업 육성 및 활용에 주력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데이터 생산량이 많은 산업(통신·제조업 등)이 발달해 잠재력이 크지만,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리스크 등으로 활용은 저조함
- 산업별 빅데이터 활용을 보면 아래와 같음
산업 | 활용 |
의료·건강 | ☞ 헬스케어 플랫폼 등을 통한 개인 건강정보의 축적 및 의료기관 등과 공유·활용 |
과학기술 | ☞ 주요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물을 바탕으로 대규모 과학기술 빅데이터 공유·활용 플랫폼 구축 |
정보보안 |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킹 등의 보안사고 징후 파악 및 조기 대응·협업시스템 구축 |
제조·공정 | ☞ 완제품 품질향상 등을 위해 대기업이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고 납품 ☞ 중소·중견기업이 공동으로 활용(정부 예산 투자 또는 필요 SW의 개발 등 지원) |
소비·거래 | ☞ 구매 패턴 및 트랜잭션 분석 등을 통한 소비 트렌드 예측,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판매 포트폴리오 구성 지원 및 리스크 관리 등 |
교통·물류 | ☞ 수요예측·제어 등 물류·유통체계 최적화 |
빅데이터 조직 및 인력
1. 빅데이터 업무 프로세스
단계 | 설명 |
도입 | ☞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빅데이터 도입 기획, 기술 검토, 도입 조직 구성, 예산 확보 등을 수행 |
구축 | ☞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요구사항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단계를 수행 |
운영 | ☞ 빅데이터 시스템의 도입 및 구축이 끝나면, 이를 인수하여 운영 계획을 수립 ☞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데이터 및 빅데이터 분석 모델 운영, 빅데이터 운영 조직, 빅데이터 운영 예산 고려 |
2. 빅데이터 조직 설계의 절차
절차 | 설명 |
경영 전략 및 사업 전략 수립 | ☞ 기업이나 조직의 경영 전략, 산업 전략, 서비스 전략을 수립할 때 빅데이터 관련 사업이나 서비스에 대한 전략을 검토 |
전체 조직 구조 설계 | ☞ 경영 전략, 사업 전략, 서비스 전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이나 조직의 전체적인 수준에서 조직의 구조를 설계 |
핵심 업무 프로세스 검토 | ☞ 업무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조직의 주요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설계할 수 있도록 검토 |
팀 조직 구조 설계 | ☞ 전체 조직의 하부 조직인 팀 조직의 구조는 수직적인 구조와 수평적인 구조의 조직 유형을 고려하여 설계 |
핵심 인력 선발 | ☞ 팀 조직에 대하여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핵심 인력의 역할, 책임을 정의하여 향후 인력 선발에 참조 |
역할과 책임 할당 | ☞ 빅데이터 조직의 업무에 대한 적절한 역할과 책임을 할당 |
성과 측정 기준 수립 | ☞ 조직 구성원이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성과 목표 평가 기준 수립 |
역량 교육 및 훈련 | ☞ 조직 구성원의 성과 평가 후,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 훈련을 수행 |
3. 빅데이터 조직 구조 설계의 요소
㉮ 조직 구조 설계의 요소
요소 | 설명 |
업무 활동 | ☞ 조직의 임무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업 수행을 위한 수직 업무 활동과 수평 업무 활동으로 구분 ☞ 수직 업무 활동 : 경영 계획, 예산 할당 등의 우선순위를 결정 ☞ 수평 업무 활동 : 업무 프로세스 절차별로 업무를 배분 |
부서화 | ☞ 조직의 임무와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조직 구조 유형 설계 ☞ 조직 구조 유형은 집중 구조, 기능 구조, 분산 구조로 분류(아래의 표 참고) |
보고 체계 | ☞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업무 활동 및 부서의 보고 체계를 설계 |
㉯ 조직 구조 유형
유형 | 설명 |
집중 구조 | ☞ 전사 분석 업무를 별도의 분석 전담 조직(DSCoE)에서 담당 ☞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분석조직이 우선순위를 정해서 집행 가능 ☞ 현업 업무부서의 분석 업무와 중복 및 이원화 가능성이 높음 ※ DSCoE(Data Science Center of Excellence)는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가 조직을 의미함 |
기능 구조 | ☞ 일반적인 형태로 별도 분석조직이 없고 해당 부서에서 분석 수행 ☞ 전사적 핵심 분석이 어려우며 과거에 국한된 분석 수행 |
분산 구조 | ☞ 분석조직 인력들을 현업 부서로 직접 배치해 분석 업무를 수행 ☞ 전사 차원의 우선순위 수행 ☞ 분석 결과에 따른 신속한 피드백이 나오고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 공유가 가능 ☞ 업무 과다와 이원화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기에 부서 분석 업무와 역할 분담이 명확해야함 |
4. 빅데이터 조직 구조의 설계 특성
특성 | 설명 |
공식화 | ☞ 업무의 수행 절차, 수행 방법, 작업 결과 등의 기준을 사전에 설정하여 공식화 |
분업화 | ☞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업무 수행 시 업무를 분할하여 수행 ☞ 업무의 성격에 따라 여러 단위로 나누는 수평적 분할과 계획, 감독, 실무 업무 실행 등의 수준에 따라 나누는 수직적 분할로 구분 |
직무 전문화 | ☞ 직무 전문화는 수행 업무에 활용되는 직무 전문성의 유형을 의미하며, 직무 전문성에 따라 생산성이 증대되므로 전문 지식과 경험이 중요한 요소 |
통제 범위 | ☞ 관리자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직의 인원수 |
의사소통 및 조정 | ☞ 업무 수행 시 의사소통은 업무의 지시, 보고, 피드백 등 수직적인 활동과 문제 해결을 위한 협업 등 수평적인 활동으로 구분 |
5. 빅데이터 조직 역량
- 기업이나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우수 성과자의 기여가 중요한 요소임
- 우수 성과자의 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타 조직원에게 전달 및 공유하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쉬워짐
- 우수 성과자의 행동하는 특성을 파악하여 업무 달성을 위한 지식, 스킬, 태도 등의 직무 역량 요소들을 도출하여 직무별 역량 모델을 만듬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ata Scientist)의 요구역량에는 하드 스킬(Hard Skill)과 소프트 스킬(Soft Skill)이 있음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복잡한 비즈니스 문제를 모델링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통계학, 알고리즘, 데이터 마이닝, 시각화 기법 등을 통해 가치를 찾아내는 사람을 의미하고 요구되는 역량은 아래와 같음
구분 | 스킬 | 설명 |
소프트 스킬 (Soft Skill) |
분석의 통찰력 | 논리적 비판 능력, 창의적 사고력, 호기심 |
여러 분야의 협력 능력 | 커뮤니케이션 능력 | |
설득력 있는 전달력 |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능력, 비주얼라이제이션(Visualization) | |
하드 스킬 (Hard Skill) |
빅데이터 관련 이론적 지식 | 빅데이터 관련 기법 및 다양한 방법론 습득 |
분석기술의 숙련도 | 목적에 맞는 최적 분석 설계, 노하우 축적 |
※ 가트너(Gartner)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분석 모델링, 데이터 관리, 소프트 스킬, 비즈니스 분석을 제시함
(1) 빅데이터 조직 역량 모델 개발 절차
순서 | 절차 | 설명 |
1 | 조직의 임무/성과/목표/CSF(Critical Success Factor) 검토 | 조직이 구성되면 조직의 임무, 조직의 성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CSF를 검토 |
2 | 조직 구성원의 행동 특성 도출 | 성과 목표 달성을 잘하는 우수 성과자의 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도출 |
3 | 조직 구성원의 역량 도출 | 도출된 행동 특성을 기반으로 지식, 스킬, 태도 등을 도출하여 직무별 역량 모델을 생성 |
4 | 조직 구성의 역량 모델 확정 | 직무별 역량 모델을 업무 전문가, 인사 담당자가 검토하고 협의하여 확정 |
(2) 빅데이터 조직 역량 교육 체계 설계 절차
순서 | 절차 | 설명 |
1 | 요구사항 분석 | ☞ 직무별 역량 교육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 ☞ 직무별 업무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 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 |
2 | 직무별 역량 모델 검토 | ☞ 직무별 설계한 지식, 스킬, 태도 등 역량 모델을 검토 |
3 | 역량 차이 분석 | ☞ 직무별 역량 모델과 우수 성과자의 역량 차이를 분석하여 극복 방안을 도출 |
4 | 직무 역량 매트릭스 작성 | ☞ 직무 역량과 직무 역량 교육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직무 역량과 교육 내용의 매트릭스를 작성 |
5 | 직무별 역량 교육 체계 설계 | ☞ 작성된 직무별 역량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필수 과정과 선택 과정으로 구분하여 업무 전문가와 인사 담당자가 검토 및 협의 ☞ 직무별 공청회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역량 교육 체계를 설계 |
(3) 빅데이터 조직 성과 평가
- 조직 구성원은 업무 수행에 필요한 활동을 하고 이 활동이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므로 개인 성과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
- 개인의 성과에 대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정의하고 관리함
- KPI는 사업, 부서, 개인 자원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그 실적을 추적하기 위한 정량화된 측정 지표를 의미함
- 아래의 표는 조직 성과 평가 절차를 나타냄
순서 | 평가 절차 | 설명 |
1 | 목표 설정 | ☞ 전략 목표의 후보를 선정하여 목표를 설정 |
2 | 모니터링 | ☞ 관리 및 측정 주기별로 전략 목표의 달성도를 점검 ☞ 조직의 목표 달성을 관리하여 기관(기업)의 전체적인 전략이 차질 없이 달성되도록 관리 |
3 | 목표 조정 | ☞ 목푯값은 기본적으로 애초에 계획을 변경하지 않도록 사전에 충분히 환경 분석 및 예측을 하여 목표를 설정 |
4 | 평가 실시 | ☞ 성과 지표별로 가중치와 목표치를 설정하여야 하며, 성과 지표별로 평가 점수 선정 기준을 마련 |
5 | 결과의 피드백 | ☞ 각 성과 지표를 목표치와 결과치를 비교하여 분석하고 차이가 큰 성과 지표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 |
- 조직의 성과 목표 달성을 위하여 회사의 비전이나 전략에 따라 성과 목표를 아래의 균형 성과표(Balanced Score Card) 네가지 관점으로 균형 있게 목표를 정하고 이를 조직 구성원 개개인에게 적용함
관점 | 설명 |
재무 | ☞ 기업의 주요 이해 관계자들에게 재무적인 지표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보여주기 위한 관점 |
고객 | ☞ 고객 관계 관리를 위한 관점 ☞ 기업에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고객을 파악해 내고, 이들을 위한 고객 지향적 프로세스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고객 관계 관리의 핵심 성공 요인 |
내부 프로세스 | ☞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은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업의 핵심 프로세스 및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과정에 관련한 관점 |
학습·성장 | ☞ 현재에는 그 가치가 보이지 않지만, 회사의 장기적인 잠재력에 대한 투자가 기업 성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를 파악 |
빅데이터 프로젝트
1. 플랫폼 구축형 프로젝트
- 전형적인 빅데이터 SI(System Integration) 구축형 사업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설치 및 구성
- 수집 → 적재 → 처리 → 탐색 → 분석 기능 구성
- 보통 3~6개월 정도가 소요되고, 이중 상당한 리소스가 내/외부 데이터 수집/적재에 사용됨
- 데이터의 마이그레이션과 주변 업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과 속성에 따라 기간이 크게 늘어날 수도 있음
- 조직은 크게 세 개의 파트로 나누며 각 파트마다 2~3명 정도를 배치하는데, 프로젝트의 규모, 비용, 구축 범위에 따라 그 이상이 투입이되기도 함
- PM(Project Manager)은 관리형 PM보다는 기술형 PM이 적합
2. 빅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 플랫폼 구축 완료 후 6~12개월 정도 데이터를 모으면서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 시작함
- 1~3개월로 짧게 수행하는데, 보통은 조직의 가치사슬 중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시점에 추진하면 효과적임
- 분석 프로젝트의 주제영역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 마케팅 분석 영역 ☞ 주로 고객 분석을 통해 차별화된 맞춤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되는 영역
- 상품/서비스 분석 영역 ☞ 신규 BM을 개발할 때 다양한 상품/서비스의 속성(가격, 디자인, 타겟팅, 출시일 등)을 결정하는 데 활용되는 영역
- 리스크 분석 영역 ☞ 기업을 운영할 때 매우 다양한 내/외부 리스크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 및 예측하는 데 활용되는 영역
- 분석 프로젝트가 현업의 참여 없이 IT가 중심이 되어 진행되는 경우에는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이 전혀 고려되지 않을 수 있음
- 빅데이터 분석은 장기간에 걸쳐 많은 실패와 경험이 축적됐을 때 좋은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음
- 관련 업무지식이 풍부한 비즈니스 전문가와 실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의 추가 수집과 전처리 기술력을 가진 데이터 엔지니어링 전문가로 구성
3. 빅데이터 운영 프로젝트
- 완성된 빅데이터 시스템을 중장기적으로 유지 관리하는 프로젝트
- 기술과 비즈니스 분야의 전문가 그룹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내재화 하지 않고 일련의 시스템처럼 외주 또는 ITO(IT Outsoursing)에 의존시 한계에 부딪치게 됨
- 전사 거버넌스가 가능한 수직화된 조직으로 구성
반응형
LIST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데이터베이스와 모델링 (0) | 2020.11.06 |
---|---|
[Big Data] 데이터 적재 및 저장 (0) | 2020.10.27 |
[Big Data] 데이터 수집 및 전환 (0) | 2020.10.25 |
[Big Data] 데이터 분석 계획 (0) | 2020.10.23 |
[Big Data] 빅데이터 기술 및 제도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