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전체 글 215

[Product Review] Apple Magic Mouse 후기

이번 제품 리뷰는 애플 매직 마우스입니다 디자인이 아주 깜찍하네요^^ 맥북도 짙은 회색이고 키보드도 검정색이기 때문에 검정색을 사고 싶었지만 흰 색이 가격면에서 좀 더 저렴하여 흰색을 샀다는-_- 뭐 일단 배송은 거의 하루 만에 도착!! 요새는 배송이 엄청 빠르네요!! 지금쯤 쓰레기 장 어딘가에 있을 매직 마우스의 박스입니다 아주 귀여운 놈이 등장했습니다-_- 그립감은 뭐 그리 나쁘지 않고요 스크롤을 올리고 내릴 때 반대인 점만 빼면 적응은 금방되네요~ 좀 아쉬운 점은 충전식인데 충전을 하려면 마우스 사용이 불가하네요 충전하는 부분이 바닥에 있어서 충전을 하려면 꽂아두고 그 동안은 사용 불가라는..-_- 요새 무선 충전해주는 패드도 있어서 그거랑 같이 쓰면 되겠지 했지만 이거는 무선 충전도 안된다는.....

Product Review 2020.02.02

[Product Review] Apple Magic Keyboard With Num Keypad 후기

이번 제품 리뷰는 Apple의 매직 키보드입니다 현재 맥북 프로를 사용중인데 자체 키보드만 이용하다가 한 번 질러보았네요-_- 배송은 거의 하루 만에 도착해서 아주 좋았어요^^ 언박싱은 언제나 즐겁네요 저는 박스는 모으지 않기 때문에 지금 쯤은 쓰레기 장 어딘가에 있을 매직 키보드의 박스입니다-_- 실제 키보드는 이렇게 생겼고 노트북 키보드만 이용하다가 사용하니 아주 편안했습니다 충전하는 부분은 매직 마우스와 다르게 위쪽에 달려있어서 사용하면서 충전가능하네요~ 매직 마우스는 아래에 있어서 엄청 불편했는데 다행입니다 너무 사고 싶어서 샀다가 보다 거북목이 되기 싫어서 사긴 했는데 생각보다 디자인도 괜찮고 나쁘지 않아서 만족했습니다!! 그럼 제품 리뷰는 여기까지-_-

Product Review 2020.02.02

[DBMS] Oracle(오라클)_3

지난 시간에 이어 Undo(Rollback)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라클 8i 이전에는 Undo 세그먼트를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수동으로 관리했고 rollback_segments 파라미터에 의해 그 개수도 고정적이었으나 9i부터 도입된 AUM(Automatic Undo Management)에 의해 Undo 세그먼트마다 하나의 트랜잭션이 할당되는 것을 목표로 세그먼트가 관리됩니다 트랜잭션에 독립적으로 할당해 줄 Undo 세그먼트가 없을 때는 가장 적게 사용되는 Undo 세그먼트 중 하나를 할당합니다 Undo 세그먼트에 저장된 정보를 왜 사용할까요? 먼저, 트랜잭션에 의한 변경사항을 최종 커밋하지 않고 롤백(Transaction Rollback)하고자 할 때 이용합니다 다음은 지난 Redo 관련 글에서 언급..

DBMS 2020.02.02

[DBMS] Oracle(오라클)_2

거의 한달여 만에 글을 작성하네요-_- 지난 시간에 잠시 언급했던 버퍼 Pinning에 대해 잠깐 언급하고 Red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퍼 Pinning은 버퍼를 읽고 나서 버퍼 Pin을 즉각 해제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Call이 진행되는 동안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버퍼 Pinning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Call(Parse Call, Execute Call, Fetch Call) 내에서만 유효하고 Call이 끝나고 사용자에게 결과를 반환하고 나면 Pin은 해제되어야 하므로 첫 번째 Fetch Call에서 Pin된 블록은 두 번째 Fetch Call에서 다시 래치 획득 과정을 거쳐 Pin됩니다 Index Range Scan하면서 인덱스와 테이블 블록을 교차 방문할 때 블록 I/O를 체크해보면 테이블 블..

DBMS 2020.02.01

[English] TOEIC 기초 영단어_4

1. He concurred with her opinion. 더보기 그는 그녀의 의견에 동의했다. 2. My workload is too heavy for my salary. 더보기 나는 급료에 비해 작업량이 너무 많다. 3. My part-time job is to hand out leaflets on a street. 더보기 내 아르바이트는 길에서 전단지를 나누어 주는 일이다. 4. The housing conditions in this area are substandard. 더보기 이 지역은 주택사정이 표준 이하이다. 5. Though the salary is low, the fringe benefits are satisfactory. 더보기 비록 급료가 적지만, 부가 급료는 만족스럽다. 6. Th..

Language 2020.01.01

[Security]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메모리 시스템 중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 메모리는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적기 때문에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여 주기억장치의 공간을 확대하는 효과를 내기 위한 기억장치 관리 방법입니다 이런 효과를 내기 위해 Virtual Address Space를 사용하고 관리 단위에는 페이지(Page)와 세그먼트(Segment)가 있습니다 구분 Paging기법 Segment기법 할당 고정(Static) 분할 가변(Dynamic) 분할 적재 요구 Page만 적재(On-demand) 프로그램 전체 적재(On-demand) 관점 메모리 관리 측면 파일 관리 측면 장점 요구 Page만 적재 Load, 외부 단편화 해결, 교체시간 최소 사용자 관..

Security 2019.12.29

[Security]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지난 글에서 CPU와 버스(Bus)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에 대해 학습하겠습니다 먼저 기억장치가 계층구조를 띄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억장치는 엑세스 속도가 높아질수록 비트당 가격이 높아지고 용량이 커질수록 비트당 가격이 낮아지면서 엑세스 속도가 낮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앞서 학습한 CPU는 고속이므로 저속의 보조기억장치 사이에 캐시와 주기억장치를 배치해서 빠르지만 고가인 RDRAM의 사용량을 줄여 가격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기억장치 계층구조(Memory Hierarchy)를 이루는 이유입니다 기억장치 계층구조의 가장 최상위인 레지스터는 지난 시간에 살펴보았습니다 그 다음인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는 CPU와 주기억장치(Mem..

Security 2019.12.15

[DBMS] Oracle(오라클)_1

고성능의 DB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축하려면 DBMS와 내부 아키텍처와 SQL 옵티마이저의 원리를 이해해야하기 때문에 오늘부터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중 대표적인 오라클(Orac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오라클에 접속하면 각 클라이언트(Client)를 위한 전용 서버 프로세스가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SQL을 파싱, 최적화 등)를 제공하고 스스로 처리하지 못하는 일들(데이터파일로부터 DB버퍼 캐시로 블록을 적재, Dirty 블록을 캐시에서 밀어내 Free블록을 확보, Redo 로그 버퍼를 비우는 일 등)은 OS, I/O 서브시스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등에 신호를 보내 대신 일을 처리하도록 요청합니다 참고로 사용자가 리스너(Listener..

DBMS 2019.12.15

[Machine Learning] 군집(Clustering)_2

오늘도 공부를 해야겠죠-_- 지난 학습에 이어 주제는 군집(Clustering) 알고리즘 중 DBSCAN(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인데 데이터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 밀집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를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Noise(Outlier)를 제외한 코어 포인트(Core point)와 경계 포인트(Border point)를 클러스터로 구성하는 것입니다 코어 포인트는 데이터 분포를 점으로 찍었을 때 어느 한 점을 기준으로 반지름(R)인 원을 그려서 그 원 안에 최소 M개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점이고 경계 포인트는 자신이 코어 포인트가 아닌데 반지름(R)안에 다른 코어 포인트가 있는 점을 의미합니다 Noise는 ..

Machine Learning 2019.12.11

[Security] CPU(Central Processing Unit)

문득 정보 보안에 급 관심이 생기기 시작!! 공부를 하려고 보니 너무 막연하여 정보보안기사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정하고 달려보겠습니다 오늘의 학습 주제는 컴퓨터의 핵심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입니다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요소 기능 ALU(Arithmetic Logic Unit) 산술연산, 논리연산들을 수행하는 회로 Register PC(Program Counter)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번지를 지정 MAR(Memory Address Register) 주기억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주기억장치의 번지를 기억 MBR(Memory Buffer Register) 주기억장치에 입/출력할 자료를 기억 IR(Instruction Regist..

Security 2019.12.10
반응형
LIST